뉴스|시사
서울시 음식물쓰레기 처리 계획
nGroovy
2018. 1. 11. 12:56
반응형
서울시가 분리수거 없이 음식물 쓰레기를 싱크대에 바로 버릴 수 있도록 하수도 시스템을 바꾼다.
광진구 군자동 일대를 시범 사업지로 선정해 2020년까지 우선 교체한다.
2023년부터 서울시 전역 하수도관을 바꿀 계획이다.
서울시가 10일 발표한 보도자료에 따르면, 새로운 하수도관으로 교체되면
각 가정은 음식물 쓰레기를 싱크대에 버리고,
싱크대 하부에 설치된 분쇄기가 이를 갈아 하수도관을 통해 각 지역 물재생센터로 보낸다.
센터가 이를 한번에 처리한다.
현재 하수도관은 낡아서 음식물 찌꺼기가 중간중간 고일 우려가 있다.
이때문에 음식물 쓰레기 분쇄기는 제한적으로만 사용이 허가돼있다.
시는 2023년부터 매년 3000억원을 들여 전 자치구의 하수도관을 교체할 계획이다.
한 해 공사가 가능한 길이는 300㎞ 정도로,
총 1만615㎞에 달하는 서울시 하수도관을 모두 교체하는 데 30년 이상 걸릴 것으로 보인다.
새 하수도관이 설치되는 곳부터 차례로 분쇄기 설치가 허용될 것으로 보인다.
하수도가 개선되면 분뇨도 같은 방식으로 처리할 수 있게 된다.
지금은 각 가정집에 설치된 60만 개의 정화조에서 분뇨를 1차 처리한 뒤 하수도관으로 배출한다.
분뇨가 한동안 정화조에 저장돼 있기 때문에 비위생적이고 악취를 풍긴다.
시 관계자는 "지금처럼 음식물 쓰레기를 별도 봉투에 담아 버리지 않아도 돼 편리해진다.
쓰레기 봉투값, 처리 비용 등도 절감될 것이다"라며
"정화조가 없어지면 정화조 관리비와 분뇨수거차량 이용비도 아낄 수 있다"고 말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