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그 오브 레전드의 개발사인 라이엇 게임즈가 직접 개최하는
1년 시즌을 결산하는 세계 최고의 LOL 대회.
리그 오브 레전드 세계 1위 팀을 가리는 대회라
월드컵에 빗대서 한국에서는 롤드컵이라고 부른다.
사실 축구에 비유하자면 월드컵보다는 UEFA 챔피언스 리그
혹은 AFC 챔피언스 리그 등 클럽 대항전과 비슷한 형태이다.
국내에 롤드컵이라는 명칭이 보편화 되어 있기 때문에 착각하기 쉽지만,
월드 챔피언십은 국가 대항전이 아닌 클럽 대항전이다.
2013년 도타 2 디 인터내셔널 2013이 열리기 전까지 세계 최고의 상금이 걸려 있던 대회였다.
참가 팀은 매년 변화하고 있으며 시즌 1에서 8개팀, 시즌 2에서 12개팀,
시즌 3에서 14개팀, 2014 시즌 16팀으로 점점 증가하고 있다.
시즌 2의 경우 서킷포인트제(동남아 제외), 시즌 3는 한국에서만
서킷포인트제(세 팀 중 한 팀은 선발전을 실시)를 도입해 진출 팀을 가려내고 있다.
현재 북미 게임단 Team Solomid가 6년 연속 월드 챔피언십 진출이라는 유일한 기록을 가지고 있다.
물론 최초로 롤드컵에 진출한 멤버들 중에서 TSM에 남아있는 선수는 없다.
지금까지 6번의 월드 챔피언십에 개근한 선수는 없다.
2015년까지 개근한 선수는 다이러스와 옐로우스타 단 두 명뿐이었다.
2015 시즌 롤드컵을 끝으로 다이러스가 은퇴했기 때문에
2016 시즌에 이 기록을 경신할 수 있는 선수는 옐로우스타 단 한 명만이 남았지만 결국 경신하지 못했다.
4년 이상 출전한 선수들은 총 7명으로, 다음과 같다. 한국에서는 김종인이 유일하다.
닉네임 | 본명 | 시즌 1 | 시즌 2 | 시즌 3 | 2014 | 2015 | 2016 |
YellOwStaR | 보라 킴 | 준우승 | 12강 | 4강 | 16강 | 4강 | - |
Dyrus | 마커스 힐 | 4위 | 8강 | 14강 | 8강 | 16강 | - |
xPeke | 엔리케 세데뇨 마르티네스 | 우승 | - | 4강 | 16강 | 4강 | - |
PraY | 김종인 | - | 8강 | 4강 | - | 준우승 | 미정 |
sOAZ | 폴 부아예 | 준우승 | - | 4강 | 16강 | 4강 | - |
Doublelift | 피터 펭 | 4위 | 12강 | - | - | 16강 | 미정 |
Clearlove | 밍카이 | - | 8강 | - | 8강 | 8강 | 미정 |
리그 오브 레전드 2016 시즌 월드 챔피언십
일정 : 2016년 9월 29일(목) ~ 10월 29일(토)
개최지
조별 리그 : 미국 샌프란시스코 빌 그레이엄 시빅 오디토리움(Bill Graham Civic Auditorium)
8강전 : 미국 시카고 시카고 시어터(The Chicago Theater)
준결승전 : 미국 뉴욕 매디슨 스퀘어 가든(Madison Square Garden)
결승전 : 미국 LA 스테이플스 센터(Staples Center)
https://www.youtube.com/user/RiotGamesInc
출전 팀
LCK | ||
시드1 | 시드2 | 시드3 |
ROX Tigers | SKT T1 | Samsung Galaxy |
LPL | ||
시드1 | 시드2 | 시드3 |
Edward Gaming | Royal Never Give Up | I May |
LCS NA | ||
시드1 | 시드2 | 시드3 |
Team SoloMid | Counter Logic Gaming | Cloud 9 |
LCS EU | ||
시드1 | 시드2 | 시드3 |
G2 Esports | H2k Gaming | Splyce |
LMS | IWC | ||
시드1 | 시드2 | CBLOL | LCL |
Flash Wolves | ahq e-Sports Club | INTZ e-Sports | Albus NoX Luna |
북미와 대만은 2년 연속으로 같은 팀들이 시드 순서만 바뀌어 진출하게 되었다.
이외에 LCK의 ROX와 SKT, EU의 H2K가 2015년에 이어 2년 연속으로 롤드컵에 진출하게 되었고
LPL의 EDG는 3년 연속 롤드컵에 진출하게 되었다.
일정
16강 조별 라운드 | A조 | B조 | C조 | D조 |
결선 토너먼트 | 8강 | 4강 | 결승 |
상금
1위 (우승) : $1,000,000
2위 (준우승) : $250,000
3, 4위 (4강) : $150,000
5~8위 (8강) : $75,000
9~16위 (조별리그) : $35,000
화제의 팀
삼성
2014년 리그 오브 레전드 엑소더스 이후 모든 멤버들이 중국으로 빠져나가면서
2015 시즌부터는 사실상 신인팀이되었으나 선수들의 엄청난 노력 끝에 삼성 화이트가 우승한 이후
롤드컵 징크스를 지켜가며 2년 만에 다시 롤드컵 무대를 밟게 되었다.
여담으로 삼성 화이트의 멤버였던 폰, 마타, 루퍼와 삼성 블루의 멤버 중
유일하게 데프트가 이번 롤드컵에 참여한다.
TSM
전통적인 북미의 강팀이었으나 그들 역시 삼성처럼 엄청난 노력을 하여 북미의 역대급 최강팀으로 일어섰다.
심지어 북미최강을 넘어 우승후보, 경계대상 1위로 꼽히는 중.
거기다 TSM은 홈그라운드라는 점에서 작년의 프나틱과 같은 위치라고 볼 수 있는데,
이러한 이유로 선전을 기대하는 이들이 많다.
SKT
이제껏 이어져오던 롤드컵 징크스를 깨뜨리고 당당히 롤드컵에 참여하였다.
하지만 전력이 많이 약해졌다는 평가가 여전히 주를 이루고 있다.
ROX
타이거즈가 가장 유력한 우승후보로 꼽히고 있다.
13~15년까지 순서대로 SKT, 삼성 화이트, SKT가 대회 전에 가장 유력한 우승후보로 꼽혔고,
이변 없이 현실이 됐는데 이번에도 그리될지 지켜볼 일.
2016 롤드컵 Top 20 플레이어
'뉴스|시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LOL 2016시즌 최상위 티어 특별 보상 공개 (0) | 2016.10.14 |
---|---|
게임트릭스 PC방 게임순위 사이트 (0) | 2016.10.05 |
가르쳐줘! 코딩 소녀 (Coding Girls) (2) | 2016.09.30 |
JTBC 이정현 대표 발언 팩트체크 (0) | 2016.09.30 |
오타니 쇼헤이의 만화 같은 기록 22홈런 10승 174삼진 (0) | 2016.09.29 |
애플뮤직 무료 3개월 체험해보세요 - 자동 갱신 차단 방법 (0) | 2016.09.27 |
OECD 회원국 지니계수 격차 및 한국 지니계수 변화 추이 (0) | 2016.09.22 |
오버워치 월드컵 게임 영상 및 결과 (0) | 2016.09.21 |
댓글